로그인

간편회원은 볼 수 없습니다.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회원정보 수정
운서역점 032-575-3100 (운서역 2번 출구 앞) 하늘도시점 032-751-5599 (하늘도시 만수채 건물 1층)

영종도 뉴스

세계 최대 국부펀드가 주목한 '용유·무의', 어떤 곳?

  • 0

 

송영길 시장 중동 방문해 투자 설명회...입지 조건 뛰어나...중동 오일 달러 유치 가능 여부 주목

 

용유무의복합레저단지 조감도.

 

"세계 최대의 국부펀드가 인천을 주목하고 있다."

5월28일부터 6월3일 까지 중동을 방문하고 돌아 온 송영길 인천시장의 일성이다.

송 시장은 중동 방문 기간 동안 아랍 에미리트의 아부다비 투자청, 두바이, 카타르 투자청, 카타르의 펄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개인 펀드인 파르단 등을 찾아 인천 용유ㆍ무의복합레저단지 사업을 설명하고 투자 유치 활동을 벌였다.

송 시장은 "투자자들이 용유ㆍ무의 사업의 잠재력과 성공 가능성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을 주요 성과로 꼽고 있다.

이에 따라 송 시장이 중동 투자자들에게 설명한 용유ㆍ무의 지역이 어딘지, 복합레저단지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은 있는지 등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중동 투자자들 "인천 잠재력 높다"

송 시장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중동 방문 성과를 설명하면서 "중동 투자자들이 인천과 용유ㆍ무의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잠재력을 높이 샀다"고 강조했다.

송 시장에 따르면 중동 투자자들은 인천의 지정학적 위치와 풍부한 관광 수요에 주목하고 있다. 인천은 동북아 3국의 중간에 위치해 있고, 1시간 내에 2400만 명(수도권)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2~3시간 내에 15억 명(동북아 3국)의 수요층이 있다. 두바이처럼 뜨거운 사막 기후가 아니라 4계절이 뚜렷해 해양레저ㆍ휴양 단지로 적합하다. 특히 용유ㆍ무의 지역은 인천공항이 바로 옆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이에 따라 아부다비 투자청이 SPC 설립 및 투자 계획 수립을 전제로 '투자심의위원회'에 정식 안으로 상정해 투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답변을 듣는 등 투자자들의 관심이 컸다는 게 송 시장의 설명이다.

송 시장은 "5년 동안 투자 논의가 진행됐지만 서로간의 신뢰가 쌓이지 않아 지지부진했었다"며 "투자 유치를 중개하고 있는 켐핀스키 측과 재원을 조달할 중동 자본의 투자 의지ㆍ열정을 확인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설명했다.

▲ 용유ㆍ무의는 어떤 곳?

타 지역민들은 물론 인천 사람들에게도 다소 생소한 '용유ㆍ무의' 지역은 용유도와 무의도를 묶어 부르는 말로, 인천 중구 소재 인천공항 인근에 위치한 곳이다. 인천공항이 생기기 전만 해도 한적한 섬 마을이었지만,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갯벌을 메워 지고 인천공항고속도로ㆍ인천공항철도가 개설돼 육지와 연결됐다. 이에 따라 서울과 불과 40~50분 거리로 현재도 을왕리ㆍ왕산 해수욕장이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인천공항이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 떠오르면서 배후 관광 단지 개발의 적지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대한항공이 1400여억 원을 들여 '마리나'(요트 계류 시설) 사업을 벌이기로 한 곳이다.

▲ 개발 프로젝트 '기대 반 우려 반'

하지만 용유ㆍ무의 사업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선 여전히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2020년까지 인천공항 인근에 24.4㎢의 넓은 해안에 카지노ㆍ요트장ㆍ리조트ㆍ호텔ㆍ테마파크 등을 갖춘 세계 최대의 복합레저단지가 조성돼 전세계의 관광객들을 끌어 들이게 된다. 송 시장이 확인한 중동 투자자들의 '관심'이 실제 투자로 이어질 경우 향후 약 80조원의 오일 달러가 유치돼 국가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선 용유ㆍ무의 지역이 과연 그만한 사업성이 있는 지역이냐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론이 있다. 이미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땅 값이 3.3㎡당 비싼 곳은 1000만원 대에 이를 정도로 뛰어 있다. 난개발도 심각하다. 특히 세계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서 한때 '신화'였던 두바이마저 사상누각으로 전락한 상황에서 새로운 초거대 개발 프로젝트가 성공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지지부진했다는 것 자체가 이 사업의 한계를 보여준 것 아니냐는 것이다.

게다가 용유ㆍ무의 지역을 비롯한 인천은 북한과 가까워 언제든 남북한 관계 악화에 따른 피해가 우려되는 곳인데다 수도권 규제 등에 발목이 묶여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라는 분석이다.

 

 

아시아경제 (2011-6-8)

 


 

부정클릭 감시중